728x90
반응형
Nuke Matte Painting Tutorial| Matte Painting with Nuke & Photoshop | 3D Matte Painting
ref ; 힌디 엑센트
- 먼저 포토샵에서 매트 레이어 나와서 이미지 작업 함.
- 누크에서 psd로 불러옴.
- read > breakout image
- 아래에 shuffle / crop / merge(normal) 달지 않아도 breakout image 하면 저절로 달림.
6. 이하의 노드를 지워줌.
- 아래 이미지처럼. 포토샵에선 지웠다고 생각되지만, 깔끔하게 정리되지 않은 이미지들이 있음. 이 경우, premult 달아줌. 보면 다 달아줌. 백그라운드 빼고.
8. project 3d노드는 카드에 연결, 카메라의 cam은 project 와 연결. scene 노드에 camera / card를 연결해주고, scene은 scanlinerender에 연결해줌.
- 이해를 해야 안 잊는데, propject3d는 프로젝터라고 인해하면 됨, 프로젝터에 이미지를 쏘는 대상이 카드가 되는 것이고 카드는 하나의 장면으로 씬과 연결됨. 씬에는 카메라가 필요하므로 연결되고, 프로젝터에도 카메라가 필요하므로 연결 됨. 이 씬은 스캔라인랜더와 연결되어야 함.
9. 연결 후, 스캔라인랜더에서 탭키를 탭키를 누르면 3d공간이 보임, card의 orientation을 zx로 바꿔주면 카드가 바닥으로 누움.
- orientation의 방향이 헷갈릴 수 있는데, 모르면 일단 눌러서 아는게 금방이지만,
- x는 가로 y는 높이 z 는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임. 3d로 만들어주는 결정적인 축, 이것만 인식하면 축 방향이 혼란스럽지 않음.
- xy는 정면 / 2d
- 바닥에 눕힌 이유는, 그라운드 이미지이므로 바닥에 프로젝션 해야 하기 때문.
- 카메라의 방향과 높이를 조절해서 프로젝션의 영역과 크기를 조절함.
- 스캔라인랜더에 bg 화살표가 보이는데, 여기에 reformat을 달아서 output format을 지정할 수 있음.
12. 이렇게 바닥의 경우 다른 카메라 프로젝션을 이용해 바닥에 쏘고, 나머지 카드는 원래 이미지 구도에서 배치만 하면 되므로 따로 프로젝션에 연결하지 않고 바로 씬으로 연결하면 된다.
- 이미지의 크기는 card > uniform scale을 활용해 조절한다.
15. 프로젝션이 필요한 노드만 연결함.
- 그럼 원 씬의 카메라는 어디에 다나. 스캔라인 렌더에 animated camera 를 달아주면 됨.
18. zDefocus ; 뎁스 만들어 줄 경우. 스캔라인랜더 아래에 zdefocus 달고, output ; result 에서 focal plane setup 달아준다.
19. 포컬 포인트 셋업은 작업자가 임의로 화면선상에서 포컬포인트를 이동하여 지정해 줄 수 있음.
20. 그 후, zDefocus 의 depth of field 값을 조정해주면, green appears.
21. green ; focused image blue ; defocused image
- now change output ; focal plane setup to result.
- also you can input size of the depth
728x90
반응형
'sw > nuke' 카테고리의 다른 글
n23'001 q&a1 처음 세팅된 포멧 설정을 바꾸는 방법. (0) | 2023.03.15 |
---|---|
ngpt001 (0) | 2023.03.13 |
nk009_mastering nuke vol 1-4 ; chromatic aberration (0) | 2022.07.12 |
nk008_mastering nuke vol 1-3 ; curve editor (0) | 2022.07.07 |
nk007_mastering nuke vol 1-2 ; copy alpha, color correction, transform, reformat, animated keys control.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