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영화의 문법
- 영화용 카메라의 등장
- 19세기 반 영화용 카메라가 처음 등장
- 단순한 사건을 있는 그대로 기록한 것
- 무대식 접근 방법
- 극적 재현에 대한 관심 귀추 후, 영화로 만들어진 연극을 촬영
- 관객은 장면으로부터 분리된 비인칭 시점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느낌
- 관객 - 3차원의 대상
- 초창기 영화제작자들의 평면 스크린의 한계 극복대안
- 행동을 개별 숏(장면)으로 나눔
-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시퀀스
- 숏과 시퀀스를 논리적으로 배열할 필요 생김
- 숏은 현실의 조각.
- 관객이 총체적인 현실을 바라볼 때 어떤 조각을 어떤 순서로 볼 것인는 바로 영화를 만드는 사람에 의해서 결정.
- 마치 장님이 코끼리의 일부를 만지는 것 과 유사.
- 같은 코끼리가 있어도 수많은 시점이 존재. 이것이 바로 영화의 본질.
- 소품, 배우, 세트 = 3차원의 현실
- 영화 제작자는 관객에게 현실의 조각을 선택하고 그것을 보여줄 순서를 정하는 방법으로 시점을 만듦.
-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 만든 뷰어를 통해 들여다 보는 것 - 관객
- 관객이 언제 눈을 뜨고 볼지에 대한 인식을 ‘편집’해서 전달 하는 것 - 영화.
728x90
반응형
'btb > cinematogra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름거리 (1) | 2023.05.01 |
---|---|
self qna. camera. 피사계 (0) | 2023.05.01 |
per001_ 2point perspective (0) | 2022.07.01 |
cnp002_ The Filmmaker's View: Roger Deakins – Personal connection through cinematography (0) | 2022.07.01 |
cnp001_ 로저디킨스 시네마토그래피 조언 1부 (0) | 2022.06.30 |
Uploaded by Notion2Tistory v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