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w148

b007_mushroom in bottle_240314 블렌더로 공병에 담긴 버섯 만들기 b007_mushroom in bottle_240314 라이팅 이쁘게 하는게 생각보다 안쉽군 급한대로 최종 렌더링 01 face에 오브제 snap 하기 블렌더에서 표면에 오브제를 붙이려면 자석모드를 켜면 된다. face / allign rotation to target 그렇다고 완전히 다 잘 붙는건 아니라서 미세하기 조정해줘야 한다. 02 shading / color ramp 사용하기 쉐이딩 모드를 사용해봤다. 그라데이션을 만들어 주려고 color ramp를 쓴건데 가로가 아니라 세로로 넣어주려고 옆에 노드를 더 붙혀줬다. 03 Color Management 이건 별건 아니고, 렌더링 할때 전반적인 무드를 어떻게 할지 결정하는거다. 여기선 색감과 콘트레스트를 빡 올려야 해서 설정한 세팅. 2024. 3. 15.
b006_terrain landscape_240313 ; how to make realistic terrain texture 리얼한 terrain texture만들기 b006_terrain landscape_240313 2024. 3. 15.
b005 블렌더로 물컵 만들기, 얼음 만들기 샘플 이미지를 너무 이쁘게 해놔서 따라했는데 생각보다 이쁘진 않았다. 대신에 배울거리가 있었다. 물 표면에 섭디를 많이 넣은 다음에 텍스처를 넣는 방식이다. 클라우드로 설정하고 같은 세팅으로 얼음도 넣어준다. 이렇게 교차해서 점을 선택하고 alt s 해서 스케일 조절하면 된다. 아래처럼 했는데 못생겨서 원래 대로 교차선택해서 조정했다. 라이트 배치가 중요한데 애드온에 삼점조명 세팅이 이미 있다고 한다. 2024. 3. 14.
b004 블렌더로 여우 만들기 블렌더로 여우 만들었다. 튜토리얼이 보여주는 여우가 좀 못생ㄱㅕㅅㅓ 내 스타일대로 만들었다. 딱히 배울만한 내용은 없었고.. 그냥 알고 있는 지식 반복 2024. 3. 14.
b003 블렌더로 미피 만들기 miffy 딱히 별건 없었고, 풍선에 고리로 loop 만드는 정도가 배울만 했다. 2024. 3. 14.
b002 cabin 블렌더로 오두막 만들기 블렌더로 오두막 만들기 당일치기로 우당탕탕 2024. 3. 14.
b001 아이소메트릭 처음으로 완성해본 블렌더 독학 나도 나중에 튜토리얼 만들어 봐야지 2024. 3. 14.
lattice deform 포토샵에서 warp 변형 하듯이 모형에 lattice를 얹어주고 ctrl p로 lattice deform 켜준다음 lattice 를 변형해주어서 좀더 섬세하고 직관적으로 대상을 변형시키는 방법. 그런데 만약에 lattice deform이 제대로 지정이 안될 경우 단축키 대신 다시 변형하려는 대상에 midfier로 lattice를 추가하고, 스포이드로 직접 대상 오브젝트인 lattice를 찍어주면 설정이된다. 그리고 lattice의 resolution 을 올려주면 그림처럼 구획이 나뉘어져서 좀더 섬세하게 조정가능하다. 2024. 3. 14.
maya qna 노멀벡터, 투영 벡터 노멀 벡터와 대비되는 개념이 투영 벡터라고 했잖아? 그럼 노멀 벡터는 보통 표면에 관한 거고, 투영 백터는 라이트나 셰이드와 관련된거네? 그럼 마야에서 투영벡터와 관련된 메뉴가 있어? 네, 맞습니다! 노멀 벡터(Normal Vector)는 보통 표면(normal surface)의 방향을 가리키는 벡터입니다. 반면, 투영 벡터(Projection Vector)는 빛이나 그림자와 같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특정 방향으로 나아가는 벡터를 의미합니다. 마야에서 투영 벡터와 관련된 메뉴로는 "Edit Mesh" 메뉴 내의 "Transform Component" 옵션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선택된 구성 요소를 변형하거나, "Modify" 메뉴 내의 "Deformer" 옵션을 사용하여 변형된 구성 요소를 조작할 수 있습.. 2023. 5. 1.
self qna maya. backface culling 마야에서 backface culling이 뭐야? Maya에서 Backface Culling은 3D 모델링 시각화에서 사용되는 기능 중 하나입니다. 이 기능은 카메라에서 보이지 않는 면을 제거하여 모델링 시각화를 더욱 간단하게 만들어 줍니다. 즉, 모델링 시각화에 보이는 면만을 보여주고, 그렇지 않은 면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켜거나 끌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각화 작업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backface는 뭐고 culling은 뭐야? Backface는 3D 모델의 면 중에서 카메라에서 보이지 않는 면을 말합니다. 이러한 면은 시각화 작업 시에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를 제거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Culling은 일반적으로 '선별' 또는 '제거'라는 의미를.. 2023. 5.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