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52

mcb230822_wip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8. 24.
Aug18'23_ PCG, on blind, take a leap of faith Procedural Content Generation Procedural Content Generation은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게임이나 다른 디지털 콘텐츠의 요소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사전에 디자인된 콘텐츠를 수동으로 작성하는 대신에,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동적이고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게임 개발자들은 더 큰 규모의 세계, 다양한 레벨, 다양한 아이템 등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Developer Renan Macedo has demonstrated a procedural medieval village generator created in Unreal Engine 5.2 using its novel Procedural Conten.. 2023. 8. 18.
mars. Raleigh scattering 레일리 현상 / 화성의 토양 색 / 산화철 / 화성은 왜 푸르게 일몰할까 / 화성의 대기 본문작성과 관련하여, 도입부. 본문진행방식에 대하여. 본문구성은 질문과 답 형식으로 이뤄져있다. 질문에 대한 답이 부족한 경우, 추가로 자료를 조사해봤다. 답변에 알고있는 부분과 사실이 맞지 않으면 다시 찾아서 반문하는 형식을 오랫동안 취해왔기 때문에 나와있는 사실이 무조건 사실이라 생각하면 안된다. 화성의 토양색 / 산화철 화성은 적색행성으로 알려져있기 때문에 완전한 적색토양으로 인식이 되어 있다. 영화 마션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색토양으로 묘사가 되어있다. 그런데 화성에 회백색토양이 발견되어, 이를 두고 화성은 사실 붉지 않고 회백색이다 라고 단정지어버리는 사람들이 있어, 이에 대해 화성의 토양색과 화성의 토양이 왜 붉은지에 대해 이해해보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원인이 산화철로 나왔고, 이 질문에 대한 .. 2023. 5. 5.
모니터 글자가 번지는 이유 / 고스트 / 트레일/ 모니터 주사율 / 모니터 해상도 모니터 글자가 번지는 이유 모니터의 글자가 번지는 현상은 '고스트(ghost)' 또는 '트레일(trail)'이라고 불립니다. 이러한 현상은 모니터의 주사율이 낮거나, 반응 시간이 느려지거나, 그래픽 카드의 문제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니터의 해상도가 낮아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모니터의 주사율을 높이거나, 반응 시간이 빠른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해상도를 높이는 것 등이 있습니다. 모니터 글자 번짐 해결법 모니터 글자가 번지는 현상은 대개 모니터의 주사율이 낮거나, 반응 시간이 느려지거나, 그래픽 카드의 문제 등으로 인해 발생 1. 모니터의 주사율을 높입니다. 주사율이 높을수록 화면이 더욱 부드럽게 보이며, 글자 번짐 현상이 줄어듭니다. 2. 반응 시간이 빠른 모니.. 2023. 5. 3.
구름거리 평지에서 인간의 육안에 보이는 가장 가까운 구름은 대략 몇 km에 있을까 일반적으로, 평지에서 인간의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구름은 대략 1~2km 정도 높이에 위치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구름의 유형, 크기,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거리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2023. 5. 1.
What’s your red flag? "What's your red flag?"는 "당신의 주의 신호는 무엇인가요?" 또는 "당신이 경계하는 것은 무엇인가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주로 만남을 나누거나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 사용됩니다. "Red flag"는 일반적으로 '위험한 상황이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조짐'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2023. 5. 1.
maya qna 노멀벡터, 투영 벡터 노멀 벡터와 대비되는 개념이 투영 벡터라고 했잖아? 그럼 노멀 벡터는 보통 표면에 관한 거고, 투영 백터는 라이트나 셰이드와 관련된거네? 그럼 마야에서 투영벡터와 관련된 메뉴가 있어? 네, 맞습니다! 노멀 벡터(Normal Vector)는 보통 표면(normal surface)의 방향을 가리키는 벡터입니다. 반면, 투영 벡터(Projection Vector)는 빛이나 그림자와 같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특정 방향으로 나아가는 벡터를 의미합니다. 마야에서 투영 벡터와 관련된 메뉴로는 "Edit Mesh" 메뉴 내의 "Transform Component" 옵션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선택된 구성 요소를 변형하거나, "Modify" 메뉴 내의 "Deformer" 옵션을 사용하여 변형된 구성 요소를 조작할 수 있습.. 2023. 5. 1.
원, 호, 구 공식 구의 면적은 어떻게 구해? 구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4πr²입니다. 여기서 r은 구의 반지름을 뜻합니다. 따라서, 구의 면적을 구하려면 우선 구의 반지름을 구한 후, 이를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반지름이 5cm인 구의 면적은 4π x 5² = 100π cm²입니다. 즉, 면적은 약 314.16 cm²입니다. 원의 반지름 길이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점에서 원의 둘레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반지름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r"이라는 기*** 나타내며, 원의 둘레와 넓이를 구하는 공식에서도 사용됩니다. 원의 둘레는 2πr, 원의 넓이는 πr²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알면 원의 둘레와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호의 길이는? 원의 호는 원의 둘레를 .. 2023. 5. 1.
eng. make up vs make over 한국어로 makeup은 화장을 의미하는데 실제 원어민은 뭐라고 해? "Makeup"이란 단어는 영어권에서 매우 흔한 표현으로, "화장"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원어민들도 "Makeup"이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합니다. 다만, 일부 국가에서는 지역적인 언어나 문화적인 배경에 따라 다른 표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Make over는 뭐야? "Makeover"는 "개신, 개조"라는 뜻으로, 주로 외모나 스타일을 전면적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She got a makeover and looks completely different now"라는 문장은 "그녀는 개조를 받아 완전히 다른 모습이 되었다"는 뜻입니다. "Makeover"는 주로 패션, 뷰티, 인테리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 2023. 5. 1.
self qna. camera. 피사계 피사계가 뭐야? 피사계(Pisagor's theorem)란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제곱은 두 직각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는 정리입니다. 이는 고대 그리스 수학자 피타고라스의 정리(Pythagorean theorem)이라고도 불리며,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사진 촬영에서 피사계는 어떻게 쓰여? 사진 촬영에서 피사계는 주로 렌즈의 초점 거리(focal length)와 센서의 크기(sensor size)를 결정할 때 사용됩니다. 초점 거리와 센서의 크기는 둘 다 이미지의 확대/축소 정도나 시야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좋은 사진을 찍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피사계를 이용한 계산 방식이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초점 거리와 센서의 크기를 알면 적.. 2023. 5. 1.
728x90
반응형